본문 바로가기
흥미 놀이터

현재, 대멸종은 진행되고 있다?

by grimeyagi 2025. 4. 18.

 

현재, 대멸종은 진행되고 있다?

 

🔍 1. 대멸종이란 무엇인가?

대멸종(Mass Extinction)은 지구 생물종의 75% 이상이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짧은 시간'이란 수십만 년에서 수백만 년 정도를 의미하는데, 지질학적 시간 기준에서는 매우 짧은 편입니다.

이전의 대멸종들은 대부분 자연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했으며, 이 과정에서 지구 생물 다양성은 엄청난 타격을 입었습니다.

 

🌍 2. 역사 속 5번의 대멸종 사건
대멸종
시기
주요 원인
멸종률
생물 변화
1차 (오르도비스기 말)
약 4.4억 년 전
빙하기, 해수면 하강
86%
해양 생물군 타격
2차 (데본기 말)
약 3.6억 년 전
해양 무산소화
75%
어류 다양성 급감
3차 (페름기 말)
약 2.5억 년 전
화산활동, 메탄가스
95%
가장 심각한 대멸종
4차 (트라이아스기 말)
약 2억 년 전
기후 변화, 화산 활동
80%
공룡 등장 직전
5차 (백악기 말)
약 6600만 년 전
소행성 충돌
76%
공룡 전멸, 포유류 등장
⚠️ 3. 현재 진행 중인 제6차 대멸종

최근 몇몇 과학자들은 현재 6번째 대멸종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요. 과거와 달리 이번 멸종은 자연 재앙이 아닌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결과라고 합니다.

 

주요 원인:

  • 기후 변화: 산업화 이후 온실가스 배출 증가 → 지구 온난화
  • 서식지 파괴: 도시화, 농업 개발로 생물들의 삶의 터전 사라짐
  • 남획과 오염: 생물의 과도한 채집, 플라스틱 등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
 

 

이정모 관장님은 방사능 물질이 지층에서 검출되기 시작한 1950년대를 기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대멸종이 아니더라도

현재 과학자들은 하루 평균 150종 이상의 생물이 사라지고 있다고 추정합니다.

🧬 4. 과거 대멸종에서 살아남은 생물들

대멸종이 올 때마다 모든 생물이 죽는 것은 아닙니다. 항상 일부 생물들은 살아남아 진화를 이어갑니다.

 

 

  • 1차: 갑주어, 완족류
  • 2차: 상어
  • 3차: 세균과 조류 등 미생물
  • 5차: 초기 포유류 (인간의 조상)

 

이정모 관장은 “최상위 포식자는 반드시 죽는다"라는 말을 통해, 인간도 결코 예외가 될 수 없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 5. 인류세(Anthropocene)와 인간의 책임

 

‘인류세’란 개념은 인간이 지질학적 환경을 변화시킬 정도로 영향력을 가지게 된 시대를 말합니다. 인류는 지금 자연을 넘어 지구 시스템 자체를 바꾸는 존재가 된 것이죠.

이정모 관장는

“지구는 아프지 않다. 문제는 인간이다.”

즉, 지구 자체는 생존하지만, 인간은 사라질 수 있다는 경고입니다.

🧪 6. 과학자들의 생존 전략

 

물론 이 상황에서도 우리 인간은 생존 전략을 세워야겠죠?

인간의 생존 가능성에 과학자들은 여러 의견을 소개했는데요.

 

  • 일부 과학자들은 지구 면적의 1.2%만이라도 철저히 보호하면 멸종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말합니다.
  • 보전 생물학, 기후 기술, 생태 복원 등을 통해 대응 가능성도 제시됩니다.

지금까지

과거의 생태계 변화현재 인류의 위기

살짝 살펴봤는데요.

 

이제

우리가 어떤 미래를 선택할지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행동하면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 시작하면, 생존할 수 있습니다.
 

좋아요와 댓글, 이웃 신청은 사랑입니다.

 

728x90